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시스템 프로그래밍
- C++
- 어셈블리어
- 취약점
- pwn.college
- pwncollege
- 시스템
- wargame
- Pwnable.kr
- css
- 리버싱
- 리눅스
- 워게임
- kernel
- Bandit
- Leviathan
- px4
- 리눅스 커널
- 시스템해킹
- 프로그래밍
- 시그널
- 알고리즘
- 드론
- 시스템프로그래밍
- 컴퓨터구조
- radare2
- C언어
- 리눅스커널
- 커널
- write up
- Today
- Total
목록정보보안 (179)
Computer Security
명령어의 구성 요소 1.연산코드와 피연산자 -연산코드(Operation Code,Opcode): 1.기계(CPU)가 수행할 동작을 나타내는 코드이다. 2.명령어에서 '어떤 연산'인지를 나타내는 부분이다. -피연산자(Operand):연산(동작)의 대상. 주로 레지스터나 메모리상의 데이터가 그 대상이 된다. 2.명령어 코드의 형식 -명령어 코드의 비트열은 필드라고 불리는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명령어 필드에 들어가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수행해야 할 연산을 명시한 연산 코드(Opcode)필드 →메모리의 주소나 레지스터, 즉 피연산자의 주소를 지정하는 주소(Address)필드 →피연산자의 유효 주소(effective address)가 결정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드 필드 -CPU설계에 따라 피연산자의..

중앙처리장치 CPU의 구성요소 1.레지스터 집합(Register Set) -메모리 또는 입출력 장치에서 불러온 값이나 프로세서의 연산 중간 결과값들을 저장하는 고속의 저장장치 -범용 레지스터(General Purpose Register)와 같이 프로그래머가 임의로 사용할 수 있는 레지스터 -특수 목적 레지스터(Special Purpose Register)와 같이 프로세서나 시스템에서 특수한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레지스터 -특수 목적 레지스터(Special Purpose Register) 1.누산기(AC, Accumulator) : ALU에서의 연산 결과값 저장 2.스택 포인터(SP, Stack Pointer): 메모리 스택의 Top 주소 저장 3.프로그램 카운터(PC, Program Counter): 다..

1. 논리 게이트 -전기적 준위에 따라 0과 1로 표현되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소자 -AND, OR, XOP, NOT 등의 논리 게이트 존재 2.조합 회로 -입력과 출력을 가진 논리 게이트의 집합 -가산기(adder), 디코더, 멀티플렉서 등이 조합 회로에 해당한다. 3.순차회로 -출력이 입력에 의해서만 결정되지 않고 기존에 들어왔던 입력들의 영향을 받는 논리회로 -순차회로는 조합 회로와 달리 플립플롭(flip-flop)과 같은 기억 회로를 포합한다. -레지스터, SRAM(정적RAM, Static Random-Access Memory) 등은 플립플롭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레지스터는 CPU내부에서 연산의 중간 결과를 저장하거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CPU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