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커널
- pwn.college
- kernel
- 시스템해킹
- 알고리즘
- C++
- css
- 컴퓨터구조
- 시스템 프로그래밍
- Pwnable.kr
- 리눅스커널
- write up
- 리눅스 커널
- Leviathan
- 시스템
- 리눅스
- C언어
- 어셈블리어
- 시스템프로그래밍
- radare2
- wargame
- 시그널
- 리버싱
- px4
- 취약점
- pwncollege
- 워게임
- 프로그래밍
- 드론
- Bandit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Collision (1)
Computer Security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VHAi/btrH9G7rUYn/VU3I4irkCW1bAkXI4lIFd0/img.png)
알아야 할 기본지식! 해시 충돌이란? 해시 함수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입력값에 대해 동일한 출력값을 내는 상황을 의미한다. 해시 함수가 무한한 가짓수의 입력값을 받아 유한한 가짓수의 출력값을 생성하는 경우, 비둘기집 원리에 의해 해시 충돌은 항상 존재한다. 해시 충돌은 해시 함수를 이용한 자료구조나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며, 따라서 해시 함수는 해시 충돌이 자주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암호학적 해시 함수의 경우 해시 함수의 안전성을 깨뜨리는 충돌 공격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의도적인 해시 충돌을 만드는 것이 어렵도록 만들어야 한다. Message-Digest algorithm 5 (MD5) 임의의 길이의 값을 입력받아서 128비트 길이의 해시값을 출력하는 알고리즘이다. 1991년 설계되..
Wargame:Pwnable.kr
2022. 8. 1. 18:30